전라북도 통합돌봄 지원 정책 방향 논의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위원장 임승식)는 노령, 장애, 질병, 사고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국민을 지원하기 위한 ‘의료·간병’을 제공하고 있다. 그들이 사는 곳에서 계속해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말이죠. ‘지역돌봄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통합돌봄 지원법’)이 제정됨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의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포럼이 13일 열렸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2층 총회장에서 열렸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포용적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2019년부터 시작된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의 법적 근거가 되는 돌봄통합지원법이 다양한 논의를 거쳐 2024년 3월 26일 제정되었으며,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 . 그러나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우 현재 이에 대한 준비과정이 미흡하고 정책방향도 확립되지 않아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북특별자치도의 방향을 논의하는 시간을 보냈다.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도의 통합돌봄정책을 진행합니다. 임승식 의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정책포럼은 변재관 대한의원 대표의 발제를 통해 돌봄통합지원법 제정의 의미와 지자체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진단했다. 일본사회보장정책포럼. 이어 윤찬영 전주대학교 교수를 주재로 전북특별위원회 회의가 열렸습니다. 국주영 자치도의회 의원, 전북도노인친화정책과장 성의순 전북사회복지관 서서열 전북장애인종합지원센터장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박현정 센터장과 이중섭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지정토론을 통해 현장에서 느꼈다. 먼저 발표를 맡은 변재관 교수는 관련법 제정 배경과 과정을 설명한 뒤, 지자체 관련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1차 지정토론회에 참석한 국주영 의원은 통합돌봄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담조직 구성과 조례 제정, 민관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언을 맡은 성이순 과장은 전주시가 2019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노인의료사업의 성과와 현황을 소개하고, 관련 사업을 도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세 번째 입장을 밝힌 서서렬 원장은 통합진료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유관기관과 연계해 통합지원 업무에 필요한 정보처리와 전산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번째 토론자로 나선 박현정 센터장은 통합돌봄에는 노인과 장애인뿐만 아니라 정신질환자도 포함되어야 하며,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해 돌봄안전망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마지막 토론자로 선정된 이중섭 선임연구위원은 통합진료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방문진료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보상체계와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책포럼을 진행한 임승식 의장은 “나는 아프고 늙었다. 이어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에서 일상을 이어갈 수 있도록 통합적인 지역사회 돌봄 정책의 기반이 조속히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늘 정책포럼에서 제시된 다양한 제안은 정책에 반영될 것입니다.” 이어 “전북특별자치도의 복지정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