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소득공제 신청방법을 알아보세요
나날이 좋아지기는커녕 점점 어려워지는 경제상황 속에서 정부에서도 국민생활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월세 소득공제인데, 이는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는 월 고정 주거비이므로 신청방법과 요건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이제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이 제도는 지난 1년간 지불한 임대료를 개인의 총수입에서 공제하여 과세표준액을 경감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월세세공제라는 유사한 개념도 있습니다. 월세로 납부한 금액을 세금으로 공제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조건과 기준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신청 전 미리 알아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월세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제도를 구분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공제한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세액공제 한도는 연간 최대 750만원, 소득공제 한도는 최대 300만원이다. 기존 공제한도가 높게 설정되어 있지만, 본인의 조건에 따라 신청하고 싶어도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점만 유의하시면 됩니다. 먼저, 세액공제를 신청하려면 무주택 세대주로 연소득 7천만원 이하, 현재 거주하고 월세를 내는 면적이 85제곱미터 미만이어야 합니다. 미터 이하 4억 원 이하. 주택에 적용되어야 합니다. 이때 적용되는 공제율은 총 급여가 5,500만원 이하인 경우 임대료의 17%, 총 급여가 5,500만원 이상 7,000만원 이하인 경우 15%입니다.
한편, 임대차 계약에 따른 임차인이거나 소득이 없는 가족이라면 누구나 월세소득공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총 급여가 7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월 임대료의 20% 또는 공제 한도가 300만원입니다. 총 급여가 7천만원 이상 1억2천만원 이하이면 250만원, 1억2천만원을 초과하면 200만원. 이것이 적용됩니다. 신청방법은 간단합니다. 직장인이라면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서 회사에 직접 제출하거나, 국세청 홈택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홈택스 홈페이지 이용시, 화면 우측 상단의 ‘상담/불만/고충/신고/기타’를 클릭하신 후, 하단의 ‘주택임대료(월세) 현금영수증 발급’을 선택하신 후 진행하시면 됩니다. 세금 공제 또는 소득 공제.
지금까지 월세소득공제 및 세액공제의 의미와 조건, 신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정리하면, 세액공제는 주택면적, 가격 등 요건이 있지만, 소득공제는 요건이 없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적용하시면 됩니다. 또한, 신청에 앞서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임대차계약서) 사본, 임대료 납부증명서 등이 필요하므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