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근대골목투어 1코스 여행 안내

대구 중구 근대골목관광 1코스는 삼국시대 달구벌의 토명인 달성공원을 시작으로 조선시대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대구의 유구한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약 2시간 동안 코스를 걸으며 대구 역사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1코스 경상감영 달성길은 메인 코스 외에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3개의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골목관광지도는 서울시 관광안내소에서 확인 가능)

* 1코스 경상감영 달성길(메인코스) : 3.25km/소요시간 2시간 30분

* 경상감영 북성길 1A : 1.4km/투어 2시간

* 달성토성 삼성길 1-B : 2.4km/투어 2시간

* 경제 신화 산책: 4km/소요시간 3시간

1코스는 총 4코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겹치는 부분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한 코스를 따라가는 것이 좋지만 중간에 다른 코스에서 멈추거나 다른 코스에서 멈춘 후 다시 원래 코스로 돌아가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저자는 달성공원에서 시작해 경제신화산책길을 걸었다가 대구예술발전소에서 돌아서 경상감영달성길을 따라 산책하며 여정을 마무리했다. 옵션이 있지만 나만의 코스를 만들고 하이킹을 한다면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달성공원


달성공원은 삼국시대 토성의 원형이 보존되어 있는 공원으로 잔디와 나무가 우거져 있고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다. 공원 안에는 기념관과 마을역사관이 있어 대구의 근대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달성공원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공원로 35

달성공원, 서문시장역 도보 10~15분

연중무휴

(관련 기사)

대구 달성공원(달성토성) 안내 안내입니다.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공원은 대구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공원이다. (사적 제62호) 도심에 위치하여 접근이 용이

dailyspace.tistory.com

삼성상공회의소 홈페이지


1938년 호암 이병철 회장이 자본금 3만원으로 설립했다. 설립 초기에는 주로 밀가루, 과채류, 면류 등을 판매했지만, 특히 별면이 인기를 끌면서 제일제당, 양모, 삼성전자 등 계열사를 확장해 사업을 키워나갔다.

오토바이 골목



인교동 일대의 500m 길이의 오토바이 전문점부터 정비·수리, 튜닝업체까지 오토바이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도로입니다. 1950년대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입니다.

호암 이병철 고택(이건희 생가)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 선생이 1938년부터 1947년까지 살았던 곳이자 2세 이건희 선생이 태어난 곳으로 오토바이 골목에서 찾기 어렵지 않다. 삼성상공회의소 페이지에 이어 삼성그룹이 이룬 경제신화의 흔적이 보이는 듯하다.

공구골목 북성로



해방 후 미군 고철 도구를 수집하던 수집가들이 상점을 열고 다양한 도구를 만들어 팔았다. 잘 정돈된 거리를 따라 골목길을 걷다 보면 오래된 건물과 도구 박물관, 카페를 만날 수 있다.


북성로 공구골목 수창초등학교 옆에는 1907년 국채청산운동의 발원지로 전해지는 광문사가 있다. (가명공원 근처라는 설도 있다.) 담뱃값을 낮춰서 국가채무를 청산하자는 국채청산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여기에 여성들이 적극 동참한 것도 의미심장하다.

수창유스빌라



수창청춘맨션은 청년예술가들의 다양한 예술활동을 지원하는 청년예술문화공간입니다. 구 KT&G 담배공장 직원들의 주거지였던 폐아파트를 재건축하여 개관하였으며, 내부에서 다양한 전시와 공연, 교육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http://www.suchang.or.kr/index.php

수창유스빌라

www.suchang.or.kr

대구예술공장



연초방제창고를 개축하여 개장한 이곳은 전시, 공연,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공간입니다. 또한 공개모집 및 선발을 통해 입주작가를 선발 및 지원하여 신진작가를 독려한다. 수창공원을 사이에 두고 수창청춘맨션 맞은편에 있다.

(홈페이지)

https://www.daeguartfactory.kr/front/#self

대구예술공장

2023 예술창작공간 실험사업 서류전형 및 면접전형 합격자 발표

www.daeguartfactory.kr

이상화 생가


가는 길에 항일의 시인 이상화의 생가에 들렀다. (1-B 달성토성삼성길) 지금은 “라일락트랙”이라는 커피숍이 있었는데 아쉽게도 문을 닫아서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골목투어 2코스에는 이상화 시인이 살던 고택이 있어 방문하기 좋다.)

(관련 기사)

대구근대골목관광코스2 (서문시장출발)

대구광역시 중구에는 대구의 모던한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5개의 골목길 광장이 있으며 각 광장은 각기 다른 매력적인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은 동산선교사원에서 계산성당까지, 제일

dailyspace.tistory.com

희음 일본군사박물관 ‘위안부’.


큰길을 나와 경상감영공원 방향으로 걷다보면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희음이 나온다. 다양한 자료와 전시물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역사적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역사박물관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식으로 지어진 건물을 리모델링해 개관했다.

* 정보 보기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50

매주 화~토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매주 일요일, 월요일 및 공휴일 휴무

문의 : 053-213-1431

* 입장료

연령 및 우대조건에 따라 무료 ~ 2,000원

(홈페이지)

http://museum.1945815.or.kr/sub01/sub01_01.php

희음 일본군사박물관 ‘위안부’.

희음 일본군 ‘위안부’ 역사박물관 일본군 ‘위안부’ 역사박물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추모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공인입니다. .해결하다.

박물관.1945815.or.kr

대구근대역사관


1932년 준공된 조선식산은행 건물을 복원하여 대구의 근대 유물과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역사관이다. 유서 깊은 건물은 1954년부터 산업은행으로도 사용되어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내부는 전시실 외에 체험실과 문화강의실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유형문화재 제49호)

* 정보 보기

09:00~18:00 자유관람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다음날), 설날, 설날, 추석 당일 휴무

문의 : 053-606-6430

(홈페이지)

https://daeguartcenter.or.kr/dmhm/

대구근대역사관

daeguardcenter.or.kr



경상감영공원



조선 선조 때 이곳에 경상감영(경상도를 관장하는 관아·현 도청)이 있었는데, 1970년대 이후 처음으로 중앙공원으로 개원했다. 대구의 중심에 위치하여 꽃과 나무, 인공호수가 잘 조성되어 있어 여유롭게 산책하기 좋은 곳입니다. 대구근대역사관 바로 옆에 있습니다.

* 경상감영공원

24시간 영업

중앙로역 4번 출구 도보 3분


선화당(宣化堂) – 경상도지사는 조선시대에 3번의 화재가 있었다. 대구 유형문화재 제1호.


진청각(澄淸閣) – 경상도지사가 거실로 사용하다가 선화당과 같이 화재 후 중건하여 복원하였다. 대구 유형문화재 제2호.

북성로 기술예술융합센터 모루


북성로의 제조 기술과 예술이 어우러져 북성로만의 기술과 예술 공간을 탄생시켰습니다. (골목 왼쪽) 건물은 2층으로 되어 있으며 다양한 수공예 체험과 전시 행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정보 보기(이용)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16길 92-1

화요일~일요일 오전 10시~오후 6시 개장

월요일 및 공휴일 휴관

문의 : 053-252-8640

(블로그)

https://blog.naver.com/bukmoru

북성로 기술예술융합센터 모루

(MORU, 북성로기술예술융합센터) 대구 북성로 일대의 기술생태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융합공간이다. 화~일 10:00-18:00 (월요일 및 공휴일 휴무) 문의 : 053 252 8640

blog.naver.com

향촌수제구두센터/수제구두골목



이 골목에는 1970년대부터 수제화 가게가 들어섰고, 지금도 장인이 직접 만든 수제화를 사거나 수선할 수 있고, 천점을 방문할 수도 있다. 대구 수제화의 역사가 궁금하거나 가죽공예 체험이 궁금하시다면 골목길에 있는 향촌 수제화센터를 방문해 보세요.

* 수제향촌신발센터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14길 78

체험을 위해서는 단체 예약이 필요합니다(예약: 약어)

문의 : 053-219-4558~9

(홈페이지)

https://www.jung.daegu.kr/new/culture/pages/culture/page.html?mc=1864

향촌 수제화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문화관광

대구 수제화골목에 위치한 향촌 수제화관은 1, 2층에는 수제화의 역사와 관련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전시공간, 3층에는 구두공장, 4층.

www.jung.daegu.kr

대구문학관/향촌문화회관


3~4층은 대구문학관, 1~2층은 향촌문화관이다. (지하 1층으로 가시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실 ‘녹향’에서도 클래식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 정보 보기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

4월~10월: 09:00~19:00, 11월~3월: 09:00~18:00

월요일(다음 공휴일) 및 설날 휴관

문의 : 053 – 219 – 4555

* 입장료

무료 ~ 연령 및 우대조건에 따라 1,000원

(대구문학관 홈페이지)

http://modl.or.kr/contents/about/sub1.asp

대구문학관

소개 대구문학관 소개 인사말 문학관운영서비스 헌장 문학관MI 작가의 혼과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 –> 자랑스러운 추억의 공간, 살아 숨쉬는 문학의 집 존경하는 대구시민과 문인 여러분 대구

model.or.kr

(향촌문화원 홈페이지)

http://www.hyangchon.or.kr/

향촌문화회관

향촌문화원 소개, 전시, 음악실, 시설안내, 견학예약안내, 녹향

www.hyangchon.or.kr